분류 전체보기21 장수왕 이야기, 왕의 일상부터 전투 현장까지!! 1. 시대적 배경: 5세기 동아시아 판도5세기 초, 고구려는 광개토대왕(재위 391–413)의 대(大)영토 확장기를 지나왔습니다. 주변에는 중국의 북조(北朝)—‘북위(北魏)’·‘후연(後燕)’·‘후조(後趙)’ 등—가 교착 상태에 있었고, 한반도 남쪽의 백제·신라도 외교·군사적 긴장 국면이 반복되던 때였습니다. 이런 국제 정세에서 장수왕은 ‘확장의 정점’을 ‘안정과 내실’로 전환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즉위했습니다.2. 즉위 전후의 가계와 준비기본명과 가계본명은 주효(主曉)입니다. ‘장수(長壽)’는 즉위 후 사용한 연호이자, 곧 왕호(王號)이기도 합니다.아버지는 광개토대왕, 어머니는 전승 기록이 불분명하지만(확실하지 않음), 일부 연구에서는 소서노 후손일 가능성을 제기합니다추측입니다.즉위 과정413년, 광개.. 2025. 7. 17. 광개토대왕, 요동 평원을 달리다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 재위 391~412)의 요동(遼東) 정벌 전투는 고구려가 북방의 세력 균형을 확립하고, 풍부한 자원·철광을 확보하며 동북아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일련의 군사 작전입니다. 아래では 전투의 배경과 과정, 주요 전투 연표, 전술적 특징, 그리고 결과와 의의를 순서대로 정리했습니다.1. 전투 배경국내외 정세즉위 초기 광개토대왕은 남쪽의 백제·가야·왜 연합군을 격파하고, 거란·비려(夫餘) 정벌을 통해 사방의 위협을 제거했습니다. 영락(永樂) 5년(395)까지 백제·비려·거란을 차례로 제압하며 고구려의 군사력과 기마병 전술을 완성했지요 남방 전선이 안정되자, 고구려는 옛 고조선 영토였던 요동반도 일대를 완전한 지배권 아래 두고자 했습니다. 요동은 심양·지안 일대의 풍부한 철.. 2025. 7. 16. 광게토대왕, 백제-왜 연합군과 한판 승부! 광개토대왕과 백제·왜 연합군의 전투에 대해, 신뢰 가능한 기록과 역사적 맥락을 바탕으로 최대한 자세하고 정리된 형태로 설명드립니다. 참고로 이 전투는 《광개토대왕비》를 주요 사료로 하고, 《삼국사기》·《일본서기》 등의 기록을 참고합니다.■ 1. 전투 배경과 역사적 맥락— 시기: 서기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 정확히는 396년 전후— 관련 국가: 고구려, 백제, 왜(일본 열도 세력), 신라— 중심 인물: 광개토대왕 (고구려 제19대 왕)광개토대왕 즉위 직후, 고구려는 만주 일대뿐 아니라 한반도 남부로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습니다. 당시 백제는 근초고왕·근구수왕 시대를 거쳐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강대국이었지만, 고구려와의 경쟁에서 밀리고 있었습니다.또한 신라는 당시 왜 세력(일본열도 세력)의 공격과 압박을 .. 2025. 7. 15. “세상을 넓힌 고구려 왕! 광개토대왕 대모험” 오늘은 우리 역사에서 가장 용감하고 강한 왕, 바로 광개토대왕 이야기를 해볼 거야!그는 고구려의 땅을 엄청나게 넓히고, 많은 나라를 도와주고, 전쟁에서도 멋지게 이겼단다!자, 광개토대왕이 어떤 모험을 했는지 함께 떠나볼까?1. 광개토대왕은 누구일까?광개토대왕은 고구려의 19번째 왕이었어.그는 17살에 왕이 되었고, 무려 22년 동안 나라를 다스렸지(391~413년).왕이 된 뒤, 나라를 키우기 위해 전쟁을 하고, 친구 나라를 도와주고, 북쪽과 남쪽으로 힘차게 나아갔어!2. 광개토대왕의 멋진 업적들!(1) 백제와의 전쟁 – 한강을 차지하다!광개토대왕은 백제와 전쟁을 해서 한강 이북을 고구려 땅으로 만들었어!392년: 백제를 공격해서 성을 빼앗음.395년: 위례성(지금의 서울) 공격!396년: 백제 왕이 항.. 2025. 7. 14. 고국원왕, 광개토대왕의 아버지 였다고? 고구여 19대 왕 이야기 고국양왕(故國壤王) — 고구려 제19대 왕, 왕권 안정과 광개토대왕으로 가는 다리1️⃣ 고구려 왕위 계보 정확 정리왕이름재위기간비고제17대고국원왕331~371년백제 근초고왕에게 전사제18대소수림왕371~384년율령반포, 불교공인제19대고국양왕384~391년광개토대왕의 부친 ※ 출처: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삼국유사』소수림왕은 고국양왕의 형이며, 두 사람은 고국원왕의 아들입니다. 소수림왕이 후사 없이 세상을 떠난 뒤 동생 고국양왕이 왕위에 오른 것입니다.고국원왕 → 소수림왕 → 고국양왕 → 광개토대왕순서가 이렇게 정확합니다.혹시 인터넷이나 다른 블로그 글에서 다르게 나오는 건 혼동 때문입니다.2️⃣ 고국양왕의 즉위 배경아버지 고국원왕 전사(371년): 백제 근초고왕이 평양성을 공격하면서 고국원왕이 전사.. 2025. 7. 13. 소수림왕 : 고구려를 중앙집권 국가로 만든 왕 이야기 소수림왕(小獸林王, 재위 371년 ~ 384년): 고구려의 새로운 길을 연 개혁 군주1. 소수림왕은 누구인가?소수림왕은 고구려 제17대 왕으로, 고국원왕의 아들이며 이름은 미상입니다. 소수림왕이란 이름은 시호(죽은 후 붙여진 이름)이며, 정확한 이름은 전해지지 않습니다. 그는 371년에 부왕인 고국원왕이 백제 근초고왕과의 전쟁에서 전사하자 왕위에 올랐습니다.고국원왕이 죽은 뒤 고구려는 정치적으로 혼란한 상황이었지만, 소수림왕은 새로운 체제를 마련해 국력을 다지고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하는 데 힘을 쏟았습니다.■ 주요 키워드: 불교 공인, 율령 반포, 태학 설립, 중앙집권체제 확립.2. 소수림왕의 주요 업적2-1. 불교 공인 (372년)소수림왕 재위 2년인 372년에 전진(前秦)에서 사신과 함께 승려 순도(順.. 2025. 7. 12. 이전 1 2 3 4 다음